😀 인트로네트워크 (Network)연결된 장치 또는 다른 주변 장치와 그물처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망인터넷 (Internet)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inter + net(work) 정도가 아닐까 싶음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주변 장치로만 정보를 주고받기를 넘어서 네트워크와 연결된 지구 반대편에 있는 장치와 주고 받기 위한 기술✅ 개발자의 시선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가 많음➡️ 개발자는 네트워크를 이해해야함개발자의 업무는 크게 프로그램 만들기, 프로그램 유지 / 보수하기라는 두 가지 종류의 일을 한다.그래서 채용공고에도 필수적으로 네트워크 기본 지식을 요구하고 면접에서도 체크하고 있다.프로그램 만들기프로그래밍 언어,..
혼공
혼공단이 무엇인가? 한빛미디어의 '혼자 공부하는 OOOO' 시리즈를 혼자 공부할 수 있도록 진도표, 과제를 6주에 걸쳐서 운영해주는 일종의 스터디. 출판사는 책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 참여자는 공부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윈윈 컨텐츠이다. 악어와 악어새, 개미와 진딧물. 혼공단을 하고 완주하면 책을 살 때 쓸 수 있는 2만 포인트를 준다. (책 값을 거의 돌려준다는 의미) 혼공단을 하게 된 이유? 재작년부터 취미 생활, 자기개발로 책 리뷰 헌팅을 해왔다. (대학생은 항상 돈이 없고 책 살 돈은 더 없는 편...) 한빛미디어는 늘 나는 리뷰어다 활동으로 도움을 많이 주는 감사한 출판사이기에 페이스북에 구독을 해놓고 자주 체크했다. 여름, 겨울마다 진행하는 이 혼공단이 어김없이 이번 겨울 시즌에 돌아왔다. 나는..
과제 p. 400의 확인 문제 1번 : 메모리 할당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다음 보기에서 찾아 써 보세요. 보기 :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최초 적합 : 최초로 발견한 적재 가능한 빈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최악 적합 :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장 큰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최적 적합 :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Ch.14(14-3)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이 3개 있고, 페이지 참조열이 '2313523423' 일 때 LR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이 페이지를 참조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는지 풀어보기 폴트 3번 발생! 가상 메모리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일부만 메모리에 적재하여 실제 물리..
과제 p. 363의 확인 문제 1번 : 뮤텍스 락과 세마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뮤텍스 락은 임계 구역을 잠근 뒤 임계 구역에 진입함으로써 상호 배제를 위한 동기화를 이룹니다. 세마포는 공유 자원이 여러 개 있는 상황에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세마포를 이용해 프로세스 실행 순서를 제어를 위한 동기화도 이룰 수 있습니다. 세마포를 이용하면 반드시 바쁜 대기를 해야 합니다. ← 대기 큐를 사용해서 바쁜 대기를 해소한다. signal 함수가 프로세스가 끝났을 때 실행되면 대기 중인 프로세스를 큐에서 제거하고 프로세스 상태를 준비 상태로 변경하여 준비 큐로 옮긴다! Ch.12(12-1) 임계 구역, 상호 배제 개념을 정리하기 아래 공부 내용에 정리했습니다 :) 프로세스 동기화 프로세스들 ..
과제 p. 304의 확인 문제 1번 : 다음은 프로세스 상태를 보여주는 프로세스 상태 다이어그램이다. 1부터 5까지 올바른 상태를 적어 보세요. 생성 상태 (new) 준비 단계 (ready) 실행 단계 (running) 종료 상태 (terminated) 대기 상태 (blocked) Ch.11(11-2) 준비 큐에 A,B,C,D 순으로 삽입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선입 선처리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어떤 프로세스 순서대로 CPU를 할당받는지 풀어보기 A, B, C, D 순서대로 실행. 먼저 큐에 들어간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하기 때문. 운영체제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시스템 자원(CPU, 메모리, 각종 장치 등)을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프로그램 커널 영역과 사용자 영역 컴퓨터가 ..
과제 p. 125의 확인 문제 2번 (설명에 맞는 레지스터를 보기에서 찾아 빈칸을 채워보세요.) - 플래그 레지스터 : 연산 결과 혹은 CPU 상태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프로그램 카운터 : 메모리에서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범용 레지스터 : 데이터와 주소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 - 명령어 레지스터 : 해석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p. 155의 확인 문제 4번 : 빈칸에 알맞은 용어를 써 넣으세요. - 코어 Ch.05(05-1) 코어와 스레드, 멀티 코어와 멀티 스레드의 개념을 정리하기 - 아래에 공부내용 정리에 포함 :) CPU의 작동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 내부에는 내부에 계산을 담당하는 ALU,..
과제 p.51의 확인 문제 3번 (빈칸 채우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 p. 65의 확인 문제 3번 (1101의 음수를 2의 보수 표현법으로 구해보세요.) 1101 : 시작 0010 : 모든 0과 1 뒤집기 0011 : 1 더하기 1101을 음수로 표현한 값은 0011입니다. p. 100의 스택과 큐의 개념을 정리하기 스택 LIFO. Last In First Out. 후입 선출. 나중에 저장한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는 방식. 마치 프링글스 통. 저장은 PUSH, 꺼낼 때는 POP 큐 FIFO. 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 스택과 다르게 파이프처럼 사용. Chapter 1.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성능, 용량, 비용 예산이 한정된 상황에서 비싼 컴퓨..